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역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역도는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1951년 뉴델리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역대 대회에서 이란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1982년부터 2014년까지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역도 종목은 남녀 체급별로 진행되며, 남자 역도는 1951년부터, 여자 역도는 1990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모하마드 나시리, 김태현, 베흐다드 살리미 등 여러 선수들이 아시안 게임 역도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역도 - 2018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18년 아시안 게임 역도는 인도네시아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총 1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이다.
  • 아시안 게임 역도 -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는 대한민국 부산 부경대학교 체육관에서 남자 8개, 여자 7개, 총 15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9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역도
아시안 게임 역도
종목역도
영어 종목Weightlifting
픽토그램Weightlifting pictogram.svg
경기 단체아시아 역도 연맹
단체 약자AWF
세부 종목15
남자 종목8
여자 종목7

2. 역대 대회

아시안 게임 역도 대회는 195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2. 1. 대회 목록

아시안 게임연도개최 도시최우수 국가
11951뉴델리, 인도ایران|이란fa
21954마닐라, 필리핀대한민국
31958도쿄, 일본ایران|이란fa
51966방콕, 태국ایران|이란fa
61970방콕, 태국日本|일본일본어
71974테헤란, 이란ایران|이란fa
81978방콕, 태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1982뉴델리, 인도中国|중국중국어
101986서울, 대한민국中国|중국중국어
111990베이징, 중국中国|중국중국어
121994히로시마, 일본中国|중국중국어
131998방콕, 태국中国|중국중국어
142002부산, 대한민국中国|중국중국어
152006도하, 카타르中国|중국중국어
162010광저우, 중국中国|중국중국어
172014인천, 대한민국中国|중국중국어
182018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2022항저우, 중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역대 메달 집계

다음은 역대 아시안 게임 역도 메달 집계를 보여주는 표이다.

순위나라합계
1중국813512128
2이란31291979
3대한민국31262986
4일본23192870
5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4231855
6카자흐스탄129829
7중화 타이베이3101730
8미얀마381324
9시리아3003
10태국212822
11레바논2215
12싱가포르1326
13카타르1102
14투르크메니스탄1001
15인도네시아071320
16이라크061016
17인도05914
18필리핀0538
19우즈베키스탄04812
20베트남0202
21이스라엘0145
22파키스탄0134
23홍콩0011
키르기스스탄0011
말레이시아0011
합계208208208624


4. 역대 체급

아시안 게임 역도 경기는 참가 선수들의 체중에 따라 여러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이 체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남자부와 여자부 각각의 체급 변화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4. 1. 남자

연도체급
1951년~1954년밴텀급 (-56kg), 페더급 (56–60kg), 라이트급 (60–67.5kg), 미들급 (67.5–75kg), 라이트헤비급 (75–82.5kg), 미들헤비급 (82.5–90kg), 헤비급 (+90kg)
1958년~1970년
(1962년 제외)
플라이급 (-52kg), 밴텀급 (-56kg), 페더급 (56–60kg), 라이트급 (60–67.5kg), 미들급 (67.5–75kg), 라이트헤비급 (75–82.5kg), 미들헤비급 (82.5–90kg), 헤비급 (+90kg)
1974년플라이급 (-52kg), 밴텀급 (52–56kg), 페더급 (56–60kg), 라이트급 (60–67.5kg), 미들급 (67.5–75kg), 라이트헤비급 (75–82.5kg), 미들헤비급 (82.5–90kg), 헤비급 (90–110kg), 슈퍼헤비급 (+110kg)
1978년~1990년플라이급 (-52kg), 밴텀급 (52–56kg), 페더급 (56–60kg), 라이트급 (60–67.5kg), 미들급 (67.5–75kg), 라이트헤비급 (75–82.5kg), 미들헤비급 (82.5–90kg), 퍼스트헤비급 (90–100kg), 헤비급 (100–110kg), 슈퍼헤비급 (+110kg)
1994년플라이급 (-54kg), 밴텀급 (54–59kg), 페더급 (59–64kg), 라이트급 (64–70kg), 미들급 (70–76kg), 라이트헤비급 (76–83kg), 미들헤비급 (83–91kg), 퍼스트헤비급 (91–99kg), 헤비급 (99–108kg), 슈퍼헤비급 (+108kg)
1998년~2018년밴텀급 (-56kg), 페더급 (56–62kg), 라이트급 (62–69kg), 미들급 (69–77kg), 라이트헤비급 (77–85kg), 미들헤비급 (85–94kg), 헤비급 (94–105kg), 슈퍼헤비급 (+105kg)
2022년~현재밴텀급 (-61kg), 페더급 (61–67kg), 라이트급 (67–73kg), 미들급 (73–81kg), 미들헤비급 (81–96kg), 헤비급 (96–109kg), 슈퍼헤비급 (+109kg)


4. 2. 여자

연도체급
1990년44kg, 48kg, 52kg, 56kg, 60kg, 67.5kg, 75kg, 82.5kg, +82.5kg
1994년46kg, 50kg, 54kg, 59kg, 64kg, 70kg, 76kg, 83kg, +83kg
1998년~2018년48kg, 53kg, 58kg, 63kg, 69kg, 75kg, +75kg
2022년~현재49kg, 55kg, 59kg, 64kg, 76kg, 87kg, +87kg


5. 주요 선수

다음은 아시안 게임 역도에서 금메달을 2개 이상 획득한 주요 선수 목록이다.

순위선수국가성별체급시작종료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모하마드 나시리52 kg / 56 kg196619743--3
1김태현110 kg / +108 kg / +105 kg199019983--3
1베흐다드 살리미+105 kg201020183--3
4이사오카 료지82.5 kg198219902-13
4호세인 레자자데+105 kg199820062-13
6탈랄 나자르110 kg/+110 kg197819822--2
6야오 징위안67.5 kg198219862--2
6허줘창52 kg198619902--2
6황우원100 kg198619902--2
6전병관56 kg / 59 kg199019942--2
6란스장54 kg / 56 kg199419982--2
6안드레이 마카로프91 kg / 94 kg199419982--2
6추이원화108 kg / 105 kg199419982--2
6르마오셩62 kg199820022--2
6장궈정69 kg200220062--2
6일리야 일린94 kg200620102--2
6양저105 kg201020142--2
6엄윤철56 kg201420182--2
6리송금48 kg / 49 kg201820222--2
6림은심69 kg / 64 kg201820222--2
6톈타오85 kg / 96 kg2014202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